• 2023. 7. 11.

    by. 지식의 강

    썸네일

     

     

     

    당뇨병의 합병증

    당뇨병은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장병증: 당뇨병으로 인한 고혈당이 신장에 손상을 주어 신장 기능 저하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신경병증: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신경 손상이 발생해 통증, 감각 이상, 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이 손상되면 시력 저하 또는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4. 당뇨병성 족부전증: 발에 발생한 상처가 치료되지 않고 악화되어 감염괴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심·뇌혈관 질환: 당뇨병은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질환, 뇌졸중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관리 및 예방 방법

     

    당뇨병을 관리하고 예방하려면 **혈당 지수(GI)****당부하 지수(GL)**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당지수(GI)

    혈당지수는 음식을 섭취한 후 혈당 상승 속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GI가 낮은 식품은 혈당을 천천히 올리고, GI가 높은 식품은 빠르게 올려 인슐린 과다 분비를 유발하고 지방 축적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GI 55 이하는 낮은 GI 식품 (예: 사과, 우유)
    • GI 70 이상은 높은 GI 식품 (예: 떡, 고구마)

    그러나 혈당지수가 낮은 식품이라도 많은 양을 섭취하거나 고지방, 고염분 음식을 함께 먹으면 오히려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당부하 지수(GL)

    당부하 지수(GL)는 1회 섭취량을 고려해 혈당 지수와 결합한 지수로, 당질의 양식품의 섭취량을 함께 고려합니다.

    • GL 10 이하는 낮은 당부하 지수 식품
    • GL 20 이상은 높은 당부하 지수 식품

    당부하 지수는 식품의 당질 함량, 조리 방법, 식품 형태, 단백질, 지방, 식이 섬유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 식단 관리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당뇨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5가지 식사 방법

     

    1. 양질의 탄수화물 섭취: 흰밥보다는 잡곡밥, 찹쌀보다는 멥쌀, 그냥 빵보다는 통밀빵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와 과일 섭취: 과일은 생과일, 채소는 생채소 형태로 섭취하고, 과일은 하루 1회 분량을 적절히 섭취합니다.
    3. 균형 잡힌 단백질과 지방 섭취: 저지방 단백질(예: 생선, 두부, 달걀)을 섭취하고, 불포화 지방(예: 참기름, 올리브유)을 포함시킵니다.
    4. 천천히 씹어 섭취: 음식을 천천히 씹어 먹고,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식품은 껍질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식초나 레몬즙 사용: 식사 시 식초레몬즙을 함께 섭취하면 혈당 반응을 낮출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당질 섭취 조절

     

    혈당 지수당부하 지수만 고려하기보다, 전체적인 열량영양소의 균형을 생각하여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당질의 총 섭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당뇨병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마치며…

    당뇨병을 관리하고 예방하려면 혈당지수당부하 지수를 고려한 식사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정보를 바탕으로 식단을 개선하고, 당뇨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