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7. 11.

    by. 지식의 강

    샤워하다가 혹은 수영장에서 놀다가 귀에 물이 들어간 경험 있으신가요?

     

    그럴 때면 면봉으로 후비거나 손가락으로 파내려고 하는데,

     

    이 행동들이 오히려 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사실!

     

     

     

    그래서 오늘은 귀에 물이 들어갔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썸네일

     

     

     

    귀에 물이 들어가면 왜 안 좋은가요?

    귀에 물이 들어가게 되면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되기 때문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심할 경우 고막 손상 등 청력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빠른 시간 내에 물을 빼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이 들어갔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귓속에 손전등을 비추었을 때 빛이 반사된다면 아직 물이 남아있다는 뜻이고, 소리가 울리거나 먹먹하게 들린다면 물이 차있는 상태입니다.

     

    이럴 땐 무리해서 물기를 제거하려고 하지 말고 아래 방법을 통해 귀에 들어가 있는 물을 제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귓속에 물 빼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귓속에 물이 들어갔을 때, 면봉이나 손가락으로 귓속을 후비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머리를 옆으로 기울여서 물이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중력에 의해 귓속에 있던 물이 쉽게 빠져나온다고 하네요. 

     

    다음은 코와 입을 막고 풍선을 불듯 숨을 내쉬어 체내의 압력을 높이는 방법인 발살바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지만 감기나 비염, 축농증이 있는 상태에서 이 방법을 사용했다간 중이염에 걸릴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만약 혼자서 해결하기 어렵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귀에 물이 들어간 거 같진 않은데 먹먹해요, 그럴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실제로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았지만 먹먹한 느낌이 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심한 감기에 걸렸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귓속으로 이동하여 염증을 일으키거나,

    중이염도 마찬가지로 세균에 의해 감염되어 심하면 청력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에

    무작정 내버려 두지 마시고 가까운 병원에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저도 물놀이를 하거나 샤워를 하다가 귀에 자주 물이 들어가서 고생했던 적이 많은데요,

     

    여러분들도 앞으로는 당황하지 마시고 제가 알려드린 방법으로 귀에 들어간 물을 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